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3

[한끼] 한스타일 박람회 후기- 한국 전통문화의 새로운 출발!! - (2) 4번째로 가게 된 테마관은 '한지'였다. 그 고급스러움과 아름다움이 멀리서도 한 눈에 들어왔다. 이렇게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한지가 우리나라 전통의 종이라는 생각에 한껏 우리나라가 자랑스러워 졌다. 다양한 한지의 기능과 그 아름다움을 감상했다. 특히 조명으로 쓰일 때 신비롭고도 고급스러운 빛이 나와 우리 '한끼' 멤버들은 모두 감탄 할 수 밖에 없었다. 한지와 한글의 아름다운 조화. 누가 이런 고급스러운 한국 전통양식을 보고 감히 촌스럽다고 하겠는가? 정말 조화가 잘 되면서 고급스러운 것 같다. 한옥부문은 특이하게도 박람회장에서 3일만에 아예 한옥을 한 채 지어버렸다. ^^; 기존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상식을 바꿔버리는 계기가 될꺼라 본다. 한옥의 경우 모형을 이용해 한옥의 홍보와 사업을 동시해 진.. 2010. 3. 31.
[한끼] 한스타일 박람회 후기- 한국 전통문화의 새로운 출발!! - (1) 8월 1일 한류기사단 관리 팀에게서 받은 메일 속에서 '2008 한스타일 박람회'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이름이 마음이 들어 찾아본 공식 홈페이지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를 6가지 테마로 나누어 박람회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 6가지 테마는 '한글', '한식', '한지', '한복', '한국음악', '한옥' 이였다. 7월 30일날 처음 우리 1조가 오리엔테이션을 하고 아직 어색함이 없어지지 않았을 이 때에 팀워크도 다질 수 있고, 한국 전통문화에 대해서도 잘 이해할 수 있는 박람회라는 기회를 놓칠 수는 없었다. 그래서 '한끼'의 비상소집령을 내렸고 우리 '한끼'의 첫 한국문화탐방을 떠날 수 있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은지는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해 있었고, 선미는 급한 일이 발생해 다음 날 .. 2010. 3. 31.
한끼 팀프로젝트 - 한류스타 재조명 -발레리나 강수진 편-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발을 찾습니다.. 그 발은 바로.. 한류기사단 1조 '한끼' 팀이 모여서 만든 1월 달 팀 프로젝트인 한류스타 재조명 "발레리나 강수진 편"이다. 기존의 한류스타들에 대해서 재조명 해보자는 생각으로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었다. 원래는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선생님과 세계적인 성악가인 조수미 선생님의 영상도 만들 계획이였는데, 팀 내 사정상 1개의 완성 영상만 나오게 되었다. UCC의 내용은 강수진 선생님의 고난과 세계 최고의 발레리나로 가게되는 그 길을 감동적으로 보여주고, 한국에 이런 세계적인 한류스타가 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 부분 캡쳐사진들은 이 영상의 도입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입부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발을 찾고 있습니다로 시작해서 자연스럽게 강수.. 2010. 3. 31.
성숙한 웹 에티켓 확립 – 웹 선플기사단 캠페인. Team Project #2 한류 세계화의 필수조건 성숙한 웹 에티켓 확립 – 웹 선플기사단 캠페인 목 차 선플기사단의 필요성 캠페인 계획 캠페인 결과 앞으로의 웹 에티켓 확립방안 ♣ 웹 선플기사단 캠페인 1. 선플기사단의 필요성 댓글은 문화라고 할만치 현대인들에게 가까이 그리고 깊숙이 자리한 트렌드가 되었다. 쌍방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을 살려 글의 게시자가 일방적으로 의견과 정보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독자 역시 댓글을 통해 반박과 찬성의 의견을 낼 수 있고, 독자들 간의 소통도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독자들은 게시글과 함께 타인의 댓글을 읽음으로써 글에 대한 이해와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댓글서비스는 인터넷 뉴스기사에서부터 커뮤니티 게시판에 이르기까지 글이 등록되는.. 2010. 3. 31.
Naver(NHN) 최종과제 발표회. 2007년 하계 NHN 인턴을 2개월간 경험하고 2개월간 했던 개인 Project들 각자 발표하는 시간이 왔다. 바로 최종과제 발표회 이다. 2달 동안 각자의 멘토님들 밑에서 멘토님이 지시한 일들이나 개인이 자처해서 맡은 일들을 발표하면 되었다. 우선 내가 인턴기간 중에 한 일은 개발분야 인턴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초기에는 개발자들이 어떤 개발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지 직접 설치도 해보고 간단한 프로그램도 돌려보았다. 또한 개발자 분들을 지도선배님으로 따로 모시고 여러 가지를 질문도 해보고 서비스 프로그래밍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다. 하지만, 내 멘토님이었던 팀장님이 NHN의 미래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담당하시게 됨에 따라 나도 자원해서 팀장의 보조로 일하게 되었다. 그 결과 많은 직원들을 인터뷰하고 자료도 .. 2010.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