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9 [실무 마케팅] 소비재 마케터가 하는 일은? (상) 작년과 올해 초에 '지혜'를 나누는 사회적 기업 위즈돔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실무 마케팅에 대한 지식과 지혜를 공유하는 모임을 몇 번 가졌던 적이 있었습니다. "Creative! 3M 마케터로 살아가기(Link)"라는 주제로 제가 실무에서 배웠던 소비재 마케팅에 대해서 일반 대학생들이 갖고 있는 생각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3M 마케팅이 다른 소비재 기업 (P&G, 로레알) or IT기업 마케팅 (삼성전자)과의 차이점, 영업과 마케팅의 차이점, 훌룡한 마케팅 전문가가 되기 위한 비결 이렇게 4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작지만 제가 배웠던 마케팅 노하우들을 공유했었습니다. 그리고 그 때 확실하게 느낀 점은 사람들이 'Marketing'이라는 일과 직업에 대해 잘 못 알고 있는 부분이 너무 많다라는 것이었습니다... 2014. 1. 1. 로레알 e-strat episode8 준결승(Semi-final) 결과. 300개의 팀이 경쟁하는 준결승(Semi-final)이 끝났다. 준결승은 6라운드 가상 시뮬레이션 성적(50%)와 사업계획서(Business Plan)(50%)의 배점으로 점수가 매겨져서 각 Zone 별로 최고의 성적을 받은 1개의 팀이 결승에 진출하는 라운드이다. 전세계가 8개의 Zone으로 나누어 지고 그 중에 한 팀만 진출하게 되니 각 라운드 별로 경쟁도 치열하고 결승에 진출하기가 하늘에 별 따기에 가깝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Zone 7)과 동남&서아시아 지역(Zone 8)의 경우 시뮬레이션 성적과 사업계획서 점수가 다 높은 지역이기 때문에 Zone 7과 Zone 8의 3~5등 정도의 성적이면 다른 Zone들의 1등보다 점수가 높은 기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역시 이번에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 .. 2010. 3. 31. 로레알 e-strat episode8 준결승(Semi-final, 6 Round) 진출 팀 명단. 1 라운드에서 15000여 개의 팀 중에서 1700팀을 선별하고 5라운드까지 진행한 뒤 주가지수 상위 300개의 팀만을 선발해 준결승(Semi-final)이 펼쳐지게 되었다. 300개의 팀 중에는 대학생, MBA 팀 가릴 것 없이 성적순으로 300개의 팀만을 선발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지수가 높은 대학생 팀들이 많이 뽑혔고, 대학생 팀 중에서도 동남아시아(Zone 8)과 동아시아(Zone 7)가 강세였다. 물론 우리 Glocaleader 팀도 우수한 성적으로 뽑혔고(한국 2등, 세계 44등), 한국의 11개 진출 팀 중에 6개가 Yonsei University 라는 돋보이는 성과도 있었다. 게다가 작년에는 준결승에 한국팀이 몇 팀 못 올라가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11개 팀이나 들어가게 되어 참 기분이 .. 2010. 3. 31. L'Oreal e-strat episode8 - Round5 결과(본선 마지막 Round). 5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주가지수, 수익률) 5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전세계 순위) 5 Round 성적 : 우리 팀(Glocaleader)은 세계 44등에 랭크 5 Round의 성공원인 : Low Cost High Quality - Low Price 5 Round의 실패원인 : 고가 브랜드 출시후 판매 저조(소비자의 기호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실패한 R&D) 너무 공격적인 Capacity 투자(예전 성장률을 바탕 으로 너무 긍정적인 예측) 전략결과: 소비자의 기호변화에 맞추지 못한 고가 브랜드 런칭 실패(투자금액 대비) 점점 더 Red Ocean이 되어 가는 시장에 너무 긍정적인 전망을 바탕으로 확장시킨 Capacity 유휴현상(고정비용의 증가) 신제품에만 집중하고 있는 사이 타 회사들의 신규.. 2010. 3. 31. L'Oreal e-strat episode8 - Round4 결과. 4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주가지수, 수익률) 4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전세계 순위) 4 Round 성적 : 우리 팀(Glocaleader)은 세계 30등에 랭크 4 Round의 성공원인 : Aggressive Marketing Strategy Low Price - High Quality Strategy 기존 제품 Brand에 집중(신제품 출시 연기) 4 Round의 실패원인 : 신제품 Upgrade 실수(매뉴얼 숙지 부족) -> R&D 비용 낭비, 고가 제품 초기진입 실패 야기 전략결과: 가격대비높은성능을 가진 전략을 잘 들어맞아 매출의 확대 신제품 R&D실패(R&D비용 낭비 및 다음 기 출시때 시장 Trend와 맞지 않은 제품 출시예상) (선호Trend를 따라가지 못하는 4가지 스펙 모두 최고점 99점.. 2010. 3.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