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병철8

[논백 교육 공유] 6편. 최초가 되던가, 전혀 다르던가, 압도하던가 (하) 세 번째 길. 압도하던가 (Innovation in Perception/Marketing Expenditure/Network Effect) 경쟁을 이기는 세 번째 길은 기존에 있던 선도자를 압도해 오히려 선도자가 이상점으로 있던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내 브랜드를 새로운 이상점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길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레드 오션 시장에서 경쟁을 빠르게 압도해 시장을 장악해 가는 방법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압도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마케터가 실제 업무 중에 주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인 첫 번째 방법을 집중해서 다루도록 하겠다. 첫 번째 방법. Innovation in Perception 여기에서 핵심은 바로 "소비자의 인식 속에 더 혁신적인 후발.. 2022. 2. 2.
[논백 교육 공유] 4편. 제한된 합리성 (Bounded Rationality): 자기 중심성, 자기 과시성, 인지적 구두쇠 이번에 공유할 내용은 소비자들의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에 대한 메커니즘(Mechanism)과 그를 뒷 받침하는 2가지 논문이다. 지난 1~3편에서 공유를 해 드린 내용처럼 사람들의 결정은 대부분 이성적인 근거와 사고를 기반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는 제한된 합리성을 가지고 있는 에러 투성이의 인간이라는 한계점 때문에 그렇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제한된 합리성 (Rounded Rationality)는 3가지의 메커니즘을 통해 나온다고 볼 수 있다. (인지심리학) 1. 자기 중심성 (Self orientation): 나와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정보에게만 관심 Ex.) 자신의 손톱 가시를 중동에서 수천명이 죽는 것보다 더 심각하게 여긴다. 2. 자기 과시성 (Self enha.. 2017. 12. 27.
[논백 교육 공유] 3편. 선택 모형(Choice Model): 차별적 강점 (Unique Good)? or 차별적 약점 (Unique Bad)? 이번에 공유할 내용은 Consumer들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논문으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을 때 어떤 성격의 요인들이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2가지 논문이다. 바로 딱딱한 논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어떤 요인들이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직원 선발’과 관련된 대표적인 오류를 먼저 소개하려고 한다. Higgins, Chad A. & Judge, Timothy A 의 2004년 실험으로 유수의 기업 인사 담당자들에게 “어떤 직원을 선발하시나요?”를 물었다고 한다. 당연히! 인사 담당자들은 회사 역량 + 장기 발전 가능성이 있는 직원은 뽑는다고 했다. 그리고 실제 직원 선발 인터뷰에 들어가서 직원 선발에 작용한 Factor들을 분석해 보았.. 2017. 9. 9.
[논백 교육 공유] 2편. Consumer 의사결정 구조: Heuristic vs. Systematic 이번에 공유할 내용은 Consumer들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2가지 논문이다. 바로 Consumer들이 구매/비교/판단 등의 의사결정을 내릴 때 왜 어떠한 경우는 체계적이고 꼼꼼한 (Systematic) 의사결정을 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비체계적이고 엉성한 (Heuristic) 의사결정을 하는가에 대한 논문이다. 지난 번 논백 교육 1편의 Chip Chip Sound로 공유했듯이 사람들도 칠면조처럼 상당 부분 비체계적이고 엉성한 (Heuristic) 판단을 내리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사이비 종교, 다단계 투자, 주식 & 부동산 투자, 사기, 대선 투표 투표, 직원 선발, TV 광고 메시지 등 온갖 영역에서 우리는 엉성한 (Heuristic) 판단을 내리고 있다. 왜 그럴까? 세계적인 Market.. 2017. 9. 3.
[논백 교육 공유] 1편. 고정 행동 유형 (Fixed action Pattern): Chip Chip Sound 지난 7년이 넘는 시간 동안 소비재 마케팅을 하면서 사람들의 (특히 Consumer) 행동과 의사결정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충족되지 않는 지적호기심을 가지고 있었다. 왜? 사람들은 B 제품이 아닌 성능상 더 좋지 않은 A 제품을 구매하는 거지? 왜? 사람들은 B라고 응답을 하고 실제 행동은 A를 하는 걸까? 왜? 사람들은 똑같은 제품에 대해 A 라고 이야기 할때 구매하고, B라고 이야기 할때 구매를 연기하는 걸까? 그리고 그 해답을 알려 주었던 감히 내 인생 최고의 마케팅 교육이라 말할 수 있는 "신병철 박사님의 논문 100편 씹어먹기!" 세상을 움직이는 천재들의 결과(논문)들을 CJ그룹 CMO이셨던 신병철 박사님이 통찰력을 가지고 해석해 주시는 교육이다. 작년 1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총 10개월.. 2017.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