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한류기사단17

한끼 팀프로젝트 - 한류스타 재조명 -발레리나 강수진 편-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발을 찾습니다.. 그 발은 바로.. 한류기사단 1조 '한끼' 팀이 모여서 만든 1월 달 팀 프로젝트인 한류스타 재조명 "발레리나 강수진 편"이다. 기존의 한류스타들에 대해서 재조명 해보자는 생각으로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었다. 원래는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선생님과 세계적인 성악가인 조수미 선생님의 영상도 만들 계획이였는데, 팀 내 사정상 1개의 완성 영상만 나오게 되었다. UCC의 내용은 강수진 선생님의 고난과 세계 최고의 발레리나로 가게되는 그 길을 감동적으로 보여주고, 한국에 이런 세계적인 한류스타가 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 부분 캡쳐사진들은 이 영상의 도입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입부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발을 찾고 있습니다로 시작해서 자연스럽게 강수.. 2010. 3. 31.
성숙한 웹 에티켓 확립 – 웹 선플기사단 캠페인. Team Project #2 한류 세계화의 필수조건 성숙한 웹 에티켓 확립 – 웹 선플기사단 캠페인 목 차 선플기사단의 필요성 캠페인 계획 캠페인 결과 앞으로의 웹 에티켓 확립방안 ♣ 웹 선플기사단 캠페인 1. 선플기사단의 필요성 댓글은 문화라고 할만치 현대인들에게 가까이 그리고 깊숙이 자리한 트렌드가 되었다. 쌍방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을 살려 글의 게시자가 일방적으로 의견과 정보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독자 역시 댓글을 통해 반박과 찬성의 의견을 낼 수 있고, 독자들 간의 소통도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독자들은 게시글과 함께 타인의 댓글을 읽음으로써 글에 대한 이해와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댓글서비스는 인터넷 뉴스기사에서부터 커뮤니티 게시판에 이르기까지 글이 등록되는.. 2010. 3. 31.
한국문화의 현재현황과 세계화 가능성-2. 6. 한국음악 가. 전통음악의 현재상황 전통 그 자체를 계승하고 지키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시대를 변했고 지금도 변해가고 있다. 전통음악 또한 그 정신과 뿌리는 변함없이 지키되 시대에 맞게 맞춰가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전통음악은 과거의 한 유물과 같은 존재로 남을 뿐 이 시대의 사람들과 전혀 호흡할 수 없다. 전통음악 하면 옛 조상들의 음악, 어르신들이 듣는 노래로 생각한다. 우리는 시대가 변함에 따라 많은 서양 음악과 문화를 접하고 그 음악과 문화에 익숙해져 전통음악에 대한선 정작 방관하고 그저 따분한 음악이라고 여기고 있다. 이렇듯 전통음악의 설 자리가 줄어들고 있다. 더 먼 미래에는 아마 전통음악의 흔적은 더욱 희미해질 것이다. 우리는 예로부터 음악과 예술을 즐기고 그 속에 삶과 일상을 담아내.. 2010. 3. 31.
한국문화의 현재현황과 세계화 가능성-1. 한류기사단 '한끼' Team Project #1 한국문화의 현재현황과 세계화 가능성 목 차 1부 한국문화의 현재현황 1. 한글 2 2. 한식 5 3. 한지 8 4. 한복 12 5. 한옥 14 6. 한국음악 18 2부 한국문화의 세계화 가능성 1. 한글 23 2. 한식 24 3. 한지 27 4. 한복 30 5. 한옥 32 6. 한국음악 36 1부 : 한국문화의 현재현황 1. 한글 가. 디자인으로써의 사용 1) 이상봉 디자이너 파리는 패션의 도시라는 상징성이 있고 파리 패션계에서는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최우선으로 여기지만, 아무리 뛰어난 창의성을 발휘하더라도 상업적으로 팔리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는 뜻이다. 일반인들에게 '프레타 포르테 컬렉션(Pret-a-porter Collection)'의 화려한 패션쇼 무.. 2010. 3. 31.
한류기사단 1기 주요 보도자료. [수도권]한류 전파 '대학생 기사단' 떴다 대학생 30명으로 이뤄진 한류기사단은 앞으로 한류를 알리고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일을 하게 된다. 지난달 말 열린 발대식 모습. 사진 제공 경기도 ......................... (생략) 한류기사단은 한류우드 사업을 추진 중인 경기도가 시들어가는 한류 열기를 다시 높이기 위해 지난달 선발한 민간 외교사절이다. ........................ (생략) 4년간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뒤 다시 경영학을 공부하고 있는 정은혁(24·연세대) 씨는 세계 경영전략 공모전에서 국내 1위, 세계 13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정 씨는 "잘못된 인터넷 문화가 한류의 위기를 초래한 이유 중의 하나"라며 "앞선 정보기술(IT)을 바탕으로 한국과 한류를 바로 알릴.. 2010.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