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3 브랜드 포지셔닝 모델 소개: Censydiam Model과 브랜드 사례 (하) 이번 "브랜드 포지셔닝 모델 소개: Censydiam Model 사례 (하)"에서는 유용한 브랜드 포지셔닝 기법 Cencydiam의 근원동기 8가지 중 남은 5가지를 설명하려고 한다. (이전 글: 브랜드 포지셔닝 모델 소개: Censydiam Model 사례(상)) 5번째로 소개할 근원 동기는 'Security'으로 Censydiam Model 그래프에서 우측 하단에 위치해 있고 Personal Dimension로 볼때는 하단에 위치하고 있고 Social Dimension에서는 우측에 위치해 있는 영역이다. 즉, 감정에 대한 절제된 표현 (이성적)을 하고 자기 과시보다는 우리로서의 만족감이 더 큰 영역이다. 이 근본 동기는 우리가 보통 1) 평온하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재충전을 하는 순간을 경험할 때, 2.. 2016. 10. 15. 브랜드 포지셔닝 모델 소개: Censydiam Model과 브랜드 사례 (상) 오늘은 브랜드 마케팅을 하면서 알게 되었고, 회사 산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대 강연을 준비하면서 따로 공부하고 정리하면서 더 깊이 이해하게 된 유용하지만 아직 많은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브랜드 포지셔닝 기법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한다. 이 기법은 사람들의 행동과 그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좋은 기법으로 Censydiam Model로 불리우고 있고 모든 사람들의 행동이 8가지의 근원적인 동기 중 하나 또는 여러 가지가 자극이 되어 움직이게 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는 기법이다. 좀 더 자세하게 Censydiam Model을 설명해 보자면, Censydiam Model은 1987년에 Jan Callebaut와 Hendrik Hendrickx에 의해서 개발이 된 "모든 행동은 (심지.. 2016. 10. 15. 다르게 산다고 틀린 건 아니야 (부모 인문학) 부모가 되고 아이의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알게 된 책 한 권을 소개하려고 한다. 회사 "좋은 엄마, 아빠 되기" 동호회에서 읽고 발표했던 책으로 내용이 다소 어렵기는 하지만 아이 교육에 대한 기준 정립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아서 정리된 내용을 나누려고 한다.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꼭 구매해서 정독을 추천한다. 우선 발표할 때 정리했던 자료는 PDF 파일로 첨부를 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보시면 될 것 같다. 우선 이 책이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는 저자의 머리말에 간단하게 나와 있다. 바로 청소년들이 참된 행복을 누리지 못하는 현실을 바뀌기 위해, 그리고 앞으로 전개가 될 새로운 시대에 대비하는 인재를 기르기 위해, 김흥식 저자가 '좋은학교만들기네트워크'의 다양한 청소년 강연을 통해.. 2016. 7. 3. 마케팅 근간의 변화: 타겟팅의 모순 & 의사결정과정의 변화 최근에 가장 흥미롭게 읽었던 마케팅 글을 하나 있어 공유하려고 한다. 마케팅 하는 사람 들에게 특히나 도움이 될 수 있는 최근의 변화와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잘 설명하고 있는 것 같다. 해당에서 본문 내용 일부와 내 개인 생각을 요약해 보았다. 출처: http://pyrechim.egloos.com/m/3177619 *본문 내용 Ehrenberg 교수에 의해 주창되어 Byron Sharp에 의해 완성된 이론에 따르면, 시장세분화와 타게팅은 잡은 고기에게 또 밥을 주는 바보짓이고, 포지셔닝은 브랜드의 희망사항이지 소비자가 못 받아먹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샤프 교수는 브랜드가 성장하기 위해선 STP부터 처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게 얼마나 과격한 이야기냐면 영국에서 이 양반 책 How the brands.. 2016. 7. 3. 경험을 풍요롭게 하는 소비 (삶 강연, 최인철 교수님) '삶'이라고 하는 프로그램에서 프레임이라는 베스트셀러 작가로 유명한 심리학 박사 최인철 교수님이 나눴던 정말 공감하게 된 가르침이 있어 공유를 한다. 4분 짜리 영상인데 시간될 때 꼭 보시는 것을 추천한다. 해당 강연에서 교수님이 나눴던 내용의 주요 골자는 "돈을 많이 벌어 소유물에 대한 소비에 집중하기 보다는 경험을 풍요롭게 하는 소비에 투자를 해라." 이다. 정말 경험은 우리에게 오랜 이야기 거리를 만들어 주고, 우리를 더 오래 행복하게 해주는 것 같다. 최근에 다녀왔던 여행을 떠올리시면 이해가 더 쉽게 될 것 같다. 링크: https://youtu.be/khEQCp20Od4 (출처:서울대학교행복연구센터 Youtube 계정) * 강연 주요 메시지 2016. 7. 3.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