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31

한류기사단 1기 그 이후 방향에 대한 제언. 내가 제안했던 6번째 개인프로젝트 "한류기사단 1기 그 이후 방향에 대한 제언"에서 나온 의견이 실제 한류기사단 2기에 운영에 반영되었다. 1기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시행착오도 많았고 경기도청에서 처음하는 대학생 단체과의 협업이 원활하지만은 안았다. 하지만, 우리 1기 멤버들과 운영팀 ID369, 경기도청, 경기관광공사 모두 최선을 다했고 그렇기 때문에 2기가 500명으로 확대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제가 냈던 제안들 중 받아 들여진 것은 해외로 한류기사단 우승팀들을 보내는 제안이었다. 동기유발을 끝까지 하기 위해서 정말 한류기사단 다운 일을 하기 위해서는 해외로 마지막에 나가 홍보활동을 벌이는 것이 필수적이라 생각했고, 좋게 받아들여져 2기의 경우 각 부문 우승팀들이 해외에 나가서 한류홍보활동을 벌.. 2010. 3. 31.
한류월드와 사회공헌활동. Project #5 Hallyu Wood with CSR (現 Hallyu World) 한류기사단 '한끼' – 정 은 혁 [한류] Hallyu Wood with CSR[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요즘 트렌드 요즘에 신문이나 여러 대중매체를 통해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련된 기업들의 많은 활동들을 접해 보았을 것이다. 지금 시대에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필수불가결하게 요구되는 활동이 바로 CSR 활동이다. 이 활동은 단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쉽게 간과될 수 있는 요인이지만, 만약 이런 부분을 간과하고 성장하다가는 어느 순간 큰 난관에 부딪힐 수 있고, 심지어 한 순간에 기업으로써의 생명이 다 할 수 있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지금의 소비자들은 옛날.. 2010. 3. 31.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단어 등재 - 한류월드 in 위키피디아(Wikipedia). Project #4 Hallyu Wood in Wikipedia! (現 Hallyu World) 한류기사단 '한끼' – 정 은 혁 [한류] Hallyu Wood in Wikipedia 한류우드의 대한 홍보의 일환으로 세계 최대의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위키피디아'(Wikipedia) 에 '한류우드'라는 이름을 등록해 보았다. 앞으로 전세계의 수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한류문화의 중심지가 될 한류우드가 아직도 세계 최대의 백과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아직 많은 사람들이 한류우드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한글과 영어 2가지 버전으로 한류우드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위키피디아'에 등재시켰다. 위키피디아(Wikipedia)에 대한 소개 위키피디아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백.. 2010. 3. 31.
한류포털 활성화 방안. Project #3 한류포털 활성화 방안 한류기사단 '한끼' – 정 은 혁 [한류] 한류우드 홈페이지 활성화 방안 한류우드 홈페이지 새 단장 작업, 그 작업이 끝난 지 벌써 1달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그 동안 한류기사단들이 만들었던 콘텐츠들과 여러 한류관련 기사들이 홈페이지를 풍성하게 채워주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정작 중요한 요소가 빠져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네티즌들의 참여였다. 한류우드 홈페이지가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목표는 한류에 관련된 콘텐츠들과 정보들이 가득하고 네티즌들의 참여로 나날이 발전해 가는 한류포털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과연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지금 상태로 나아가야만 하는 가도 고민해 보았다. 그 결론으로 한류우드 홈페이지가 한류포털로 발전해.. 2010. 3. 31.
3대 외길 인생 조전환 목수. Project #2 3대 외길 인생 조전환 목수 한류기사단 '한끼' – 정 은 혁 [한류 지킴이 탐방] 3대 외길 인생 조전환 목수 3대째 외길 인생을 걷고 있는 조전환 목수. 8월19일 그의 한옥에 대한 열정과 비전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한옥 현대화의 선봉장이라고 일컬어 지며 다양한 한옥의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조전환 목수를 통해서 한옥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옥 전문가 조전환 목수를 통해 우리들이 알고 있는 한옥에 대한 여러 잘못된 생각들을 고치며 그의 비전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연(利然)건축 연혁(2000 ~ 2007) 2000 이연(利然)건축 창립 2001 이연한옥학교 설립, 퇴촌 정신대할머니들 공동체 '나눔의 집' 환경개선공사 대구 원불교 서문교당 .. 2010.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