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3

나의 작은 기도 하나에도 귀를 기울이시고 응답하시는 하나님 지난 7개월의 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저는 다른 사람들이 간증을 통해 고백을 했고, 성경에서 말하는 나오는 다른 누군가의 하나님이 아닌 '나의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취업을 하고 과거를 돌아보니 완전하신 그 분이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을 보시고 저를 가장 좋은 길로 이끌어주셨고 연단시켜 주셨구나 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 막연히 제가 하고 싶은 일만을 바라보고 있던 저에게 제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을 보여주시고 제가 받아들이는 과정의 시간이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그 '나의 하나님'을 지금부터 나눠보겠습니다. 제가 경험한 '나의 하나님'은 "나의 작은 기도 하나에도 귀를 기울이시고 응답하시는 하나님"입니다. 제가 기도로 하나님께 부탁했던 기도들. 작은 것 하나라도 단순.. 2010. 4. 30.
인생을 돌이킬 수 없는 실패로 이끄는 3가지. 지난 7개월의 취업준비기간 동안 참 많이 힘들어 했었습니다. 2002년도에 대학교에 입학한 이후로 지난 8년 동안 참 열심히 살아왔다고 생각했고, 그 당시 이해하기 힘들었던 취업의 실패에 많이 고민하고 기도하며 내 길이 과연 무엇일까 심각하게 고민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동안 어려움을 겪어 왔던 모든 문제가 다 한꺼번에 해결된 지금에 와서야 하나님이 저를 향해 가지고 계셨던 계획이 무엇이었는지 왜 이런 연단의 과정을 받게 하셨는지 모든 것들을 100%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그 분은 완전하신 분으로 제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과 사고로 판단해 이해할 수 없는 더 먼 곳을 바라보시고 저를 이끌어주셨던 것 같습니다. 마치 방향감각이 없는데다 근시인 양을 목자가 이끌어 주는 것처럼 제가 그 당.. 2010. 4. 30.
마이크로블로그 트위터가 새롭게 열어갈 집단지성의 시대 집단지성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상당히 많은 토론이 이어졌다고 생각합니다. Web 2.0 시대가 도래하고 집단지성이 잘 구현되는 서비스들이 나오면서 그 가능성이 더 빛을 발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새로운 소통의 도구인 마이크로블로그(트위터)와 결합되어 새로운 시대를 여는 힘으로 다시 한번 우리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집단지성이 다음 아고라, 네이버 지식인, 위키피디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어떤 한계점을 가지는지 자세히 알아보고 마이크로블로그 트위터가 열어갈 집단지성의 시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집단지성(集團知性, 영어: collective intelligence):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 혹은 경쟁을 통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에 의한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으로.. 2010. 4. 4.
ChiefTree의 쉬운 IT이야기(1): 블로그와 마이크로블로그의 차이점 연재를 시작하기에 앞서 ------------------------------------------------------------------ 보통 사람들이 IT뉴스를 보거나 IT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하는 말을 듣고 드는 생각이 무엇일까요? 바로 외!계!어! ^^; 하나의 큰 시대의 흐름인 IT를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은 개인적인 측면에서나 조직의 측면에서 막강한 경쟁력이 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실제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IT에 푹 빠져사는 사람들과 일반 대중들 간에 너무나 큰 공백이 생겼기 때문이죠. 제가 이번에 좋은 기회로 제가 속한 몇 개 단체에 동시에 IT관련 연재를 하게 되었는데요. 일반 대중들이 IT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여러 중요한 IT의 이슈에 .. 2010. 3. 31.
강력한 힘 RT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기 위한 GRT(Good ReTweet) 정립의 필요성 그제 2010년 3월 22일 트위터에서 RT(Retweet)의 빠르고도 강력한 힘과 그에 대해 주의해야 할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2가지의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들은 잘못된 정보가 트위터 상에서 유통이 되고 그것이 RT를 통해 빠르게 확산이 되는 문제점을 보여주었고 그 문제점을 트위터가 가진 자정능력을 바탕으로 스스로 치유해 가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2가지 다 민감하고 사람들의 관심을 단기간 내에 끌 수 있는 주제들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그 피해(?)가 더 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지금도 이 루머가 남아있아서 조금씩 떠돌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그 2가지 사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그에 따른 해결책으로 'GRT(Good ReTweet) 캠페인'을 제안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사건.. 2010.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