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열정과 도전35 로레알 e-strat episode8 준결승(Semi-final) 결과. 300개의 팀이 경쟁하는 준결승(Semi-final)이 끝났다. 준결승은 6라운드 가상 시뮬레이션 성적(50%)와 사업계획서(Business Plan)(50%)의 배점으로 점수가 매겨져서 각 Zone 별로 최고의 성적을 받은 1개의 팀이 결승에 진출하는 라운드이다. 전세계가 8개의 Zone으로 나누어 지고 그 중에 한 팀만 진출하게 되니 각 라운드 별로 경쟁도 치열하고 결승에 진출하기가 하늘에 별 따기에 가깝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Zone 7)과 동남&서아시아 지역(Zone 8)의 경우 시뮬레이션 성적과 사업계획서 점수가 다 높은 지역이기 때문에 Zone 7과 Zone 8의 3~5등 정도의 성적이면 다른 Zone들의 1등보다 점수가 높은 기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역시 이번에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 .. 2010. 3. 31. 로레알 e-strat episode8 준결승(Semi-final, 6 Round) 진출 팀 명단. 1 라운드에서 15000여 개의 팀 중에서 1700팀을 선별하고 5라운드까지 진행한 뒤 주가지수 상위 300개의 팀만을 선발해 준결승(Semi-final)이 펼쳐지게 되었다. 300개의 팀 중에는 대학생, MBA 팀 가릴 것 없이 성적순으로 300개의 팀만을 선발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지수가 높은 대학생 팀들이 많이 뽑혔고, 대학생 팀 중에서도 동남아시아(Zone 8)과 동아시아(Zone 7)가 강세였다. 물론 우리 Glocaleader 팀도 우수한 성적으로 뽑혔고(한국 2등, 세계 44등), 한국의 11개 진출 팀 중에 6개가 Yonsei University 라는 돋보이는 성과도 있었다. 게다가 작년에는 준결승에 한국팀이 몇 팀 못 올라가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11개 팀이나 들어가게 되어 참 기분이 .. 2010. 3. 31. L'Oreal e-strat episode8 - Round5 결과(본선 마지막 Round). 5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주가지수, 수익률) 5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전세계 순위) 5 Round 성적 : 우리 팀(Glocaleader)은 세계 44등에 랭크 5 Round의 성공원인 : Low Cost High Quality - Low Price 5 Round의 실패원인 : 고가 브랜드 출시후 판매 저조(소비자의 기호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실패한 R&D) 너무 공격적인 Capacity 투자(예전 성장률을 바탕 으로 너무 긍정적인 예측) 전략결과: 소비자의 기호변화에 맞추지 못한 고가 브랜드 런칭 실패(투자금액 대비) 점점 더 Red Ocean이 되어 가는 시장에 너무 긍정적인 전망을 바탕으로 확장시킨 Capacity 유휴현상(고정비용의 증가) 신제품에만 집중하고 있는 사이 타 회사들의 신규.. 2010. 3. 31. L'Oreal e-strat episode8 - Round4 결과. 4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주가지수, 수익률) 4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전세계 순위) 4 Round 성적 : 우리 팀(Glocaleader)은 세계 30등에 랭크 4 Round의 성공원인 : Aggressive Marketing Strategy Low Price - High Quality Strategy 기존 제품 Brand에 집중(신제품 출시 연기) 4 Round의 실패원인 : 신제품 Upgrade 실수(매뉴얼 숙지 부족) -> R&D 비용 낭비, 고가 제품 초기진입 실패 야기 전략결과: 가격대비높은성능을 가진 전략을 잘 들어맞아 매출의 확대 신제품 R&D실패(R&D비용 낭비 및 다음 기 출시때 시장 Trend와 맞지 않은 제품 출시예상) (선호Trend를 따라가지 못하는 4가지 스펙 모두 최고점 99점.. 2010. 3. 31. L'Oreal e-strat episode8 - Round3 결과.. 3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주가지수, 수익률) 3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전세계 순위) 3 Round 성적 : 우리 팀(Glocaleader)은 전세계 49등에 랭크 3 Round의 성공원인 : Price Repositioning Innovative Brand Upgrade 3 Round의 실패원인 : Weak Capacity (공격적인 전략의 실행에 앞서서 Capacity의 선행 투자가 필요했었다.) 전략실행결과: 혁신적인 제품 변경효과로 폭발적인 매출 증가 Capacity의 부족으로 공급부족의 사태 발생(많은 양의 제품 팔지 못함) In detail) Strategy1) 혁신적인 브랜드 업그레이드 전략 기존 브랜드가 가지는 소비자의 높은 Brand Awareness(No Brand Perception)와.. 2010. 3. 31.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