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real e-strat episode8 - Round2 결과.
2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주가지수, 수익률)
2라운드 시뮬레이션 결과(전세계 순위)
2 Round 성적 : 우리 팀(Glocaleader)은 전세계 193등에 랭크
2 Round의 성공원인 : Price Positioning
Appropriate Channel Management
전략 적용결과: 같은 회사 제품간의 브랜드 잠식 줄이는 효율적인 마케팅 적용
전체 Sales중 Revenue & EBIT의 비중 증가 (주가지수에 더 밀접한 영향이 있다.)
[In detail]
Strategy1) Brand Positioning
0기에 2개의 브랜드가 런칭되어 운영되고 있는 상황 이었다. 그런데 각 제품간의 가격대가 비슷해서 서로 간의 브랜드 잠식이 일어나고 있었다. 또한 제품 제품 간의 스펙(Efficacy, Safety, Convenience, Pleasure)도 비슷한 상황이라 소비자들의 인식도 두 제품을 비슷하게 보고 있었다. 그래서 1기에 마케팅 측면에서 두 제품간의 광고 포지셔닝과 가격 포지셔닝을 다르게 설정했고 B제품의 R&D에 더 집중하여 2기 때 제품 변경 출시 계획을 잡았다. 결국 2기때 (원래 A: Low Income Family, B: Single) --> (개선 A: Low Income Family & Single, B: Medium Income Family) 그 동안 진행했던 R&D를 바탕으로 B제품의 구성성분 업그레이드 및 대대적인 마케팅을 수행했다. 그래서 두 브랜드간의 잠식 문제를 완벽히 해결했다.
Strategy2) Channel Management
유통채널 구조에서 기존의 유통채널들이 가져가는 Margin의 비율이 기본보다 다소 높게 책정되어 있었다. 그 높은 Margin은 결국 각 유통채널내에서의 우리 제품 Push 정도를 높여주는 강력한 수단이었지만 그 만큼 전체 Sales중 우리가 가져가는 Revenues 가 적어지는 직접적인 요인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 부분을 적게 주는 대신에 다른 간접적인 유통 촉진비용등을 증가시켰다.
Lesson)
- 직접적으로 내가 편하게 다른 업체에게 위임을 하면 그 만한 대가를 줘야 한다. 선택과 집중의 영역을 너무 벗어나지 않게 내가 Control 할 수 있다면 내가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 같은 회사에서 같은 브랜드로 서로 잠식을 하는 것은 되도록이면 피하는 게 좋다. 이런 게 허용되는 경우는 회사가 많이 성장해서 추가적인 성장을 위해서 상호 브랜드 잠식을 감안한 성장전략을 짤때 정도만 가능할 것 같다.